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8

강아지 눈의 구조 및 기능 강아지 눈의 구조 강아지의 눈은 크게 눈의 기본적인 기능을 하는 안구와 안구 밖, 눈 주위에 있는 부속기관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안구는 외막, 중막, 내막 등으로 이루어집니다. 외막은 눈의 맨 앞에 있는 투명한 각막과 흰색의 공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중막은 외막 바로 안쪽에 있는 홍채, 모양채, 맥락막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막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망막을 일컫습니다. 안구를 얼굴에 담아 보호하는 공간을 안와라고 부릅니다. 안와에는 안구를 보호하는 뼈 뿐 아니라 근육, 신경, 혈관 등 안구가 마르지 않도록 눈물을 만들어주는 눈물샘과 이를 배출하는 기관도 포함됩니다. 뼈 바깥쪽에서는 피부와 털로 눈을 보호하는데, 대표적인 부위가 바로 눈꺼풀(안검)입니다. 눈꺼풀은 눈을 가리고 눈을 보호하기 .. 2024. 3. 5.
강아지 당뇨 증상 및 원인, 예방 치료법 강아지가 걸리는 당뇨는 유전적인 질병이라는 인식이 많은데, 최근 들어 식사량은 많아지는데 운동량은 떨어지면서 후천적으로 당뇨가 발생하는 경우고 늘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강아지 당뇨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강아지 당뇨 증상 당뇨는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부족해서 발생하는 병입니다. 인슐린 부족 현상은 선천적으로 췌장이 좋지 않아 발생하는 췌장염이 원인이 될 수도 있고, 후천적으로는 영양 과잉으로 비만이 돼서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그 외에도 호르몬의 이상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당뇨가 발생한 원인을 알아내기 위해서는 수의사의 자세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인슐린은 반려견의 몸에 작용해서 세포가 당분을 흡수하는 일을 돕고, 간이지방 또는 단백질을 저장할 수 있게끔 도와.. 2024. 3. 3.
다양한 기능을 하는 강아지 꼬리 반려견은 언어 대신 행동으로 소통합니다. 그중 꼬리의 움직임은 반려견 감정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신체부위 중 하나입니다. 꼬리는 몸 언어를 표현하는 수단이기도 하지만 몸의 균형을 잡는데도 도움을 줍니다. 일반적으로 꼬리를 흔들면 기분이 좋다고 여길수 있지만 반려견의 꼬리 높이, 뻣뻣함 등 여러 상태를 고려해서 반려견의 상태를 파악해야 합니다. 인간의 소통 수단은 언어입니다. 말과 글을 통해 서로 의사를 주고받습니다. 반려견은 언어가 아닌 다른 수단으로 소통을 하게 되는데 그게 바로 몸 언어입니다. 그중 많이 알려진 소통 수단이 바로 꼬리입니다. 반려견 꼬리에는 척추뼈가 이어져 있는데 그렇기 때문에 뇌로 연결되는 신경 또한 꼬리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반려견의 두뇌를 통해 꼬리가 움직이게 되는데.. 2024. 3. 2.
강아지 하울링 하는 이유 개나 늑대 등의 동물들이 길게 뽑아내는 울음소리를 하울링이라고 합니다. 야생 늑대들의 경우 하울링은 무리와 소통하거나 구성원을 응집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인간과 함께 생활하는 반려견의 경우, 사이렌과 같은 고음이 들릴 때 하울링을 하기도 하며 늑대의 하울링소리가 미디어를 통해 들리는 경우 그 소리를 따라 하기도 합니다. 이 외에도 고통이나 외로움 등을 표현하기 위해 하울링을 할 때도 있습니다. 강아지 하울링하는 5가지 이유 1) 습성 개와 늑대에게는 유전적으로 공통된 습성이 심어져 있는데, 개는 늑대와 구별이 힘들 정도로 유전자 구조가 유사합니다. 이종 교배까지도 가능할 정도라서, 반려견도 늑대의 습성으로 알려진 하울링도 가능합니다. 이는 매우 자연스러운 행동이며 개들 스스로도 왜 해야 하는지 모른 .. 2024. 2.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