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강아지 하울링 하는 이유

by 복돌디니 2024. 2. 29.
반응형

 

 

 

개나 늑대 등의 동물들이 길게 뽑아내는 울음소리를 하울링이라고 합니다. 야생 늑대들의 경우 하울링은 무리와 소통하거나 구성원을 응집시켜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인간과 함께 생활하는 반려견의 경우, 사이렌과 같은 고음이 들릴 때 하울링을 하기도 하며 늑대의 하울링소리가 미디어를 통해 들리는 경우 그 소리를 따라 하기도 합니다. 이 외에도 고통이나 외로움 등을 표현하기 위해 하울링을 할 때도 있습니다. 

 

 

강아지 하울링하는 5가지 이유

 

1) 습성 

개와 늑대에게는 유전적으로 공통된 습성이 심어져 있는데, 개는 늑대와 구별이 힘들 정도로 유전자 구조가 유사합니다. 이종 교배까지도 가능할 정도라서, 반려견도 늑대의 습성으로 알려진 하울링도 가능합니다. 이는 매우 자연스러운 행동이며 개들 스스로도 왜 해야 하는지 모른 채 하울링 하는 때도 있습니다. 

 

 

2)  신호 

야생에서 늑대는 길을 잃은 동료나 사냥 무리에서 정찰을 나선 동료에게 길을 찾아주기 위해 하울링을 하기도 합니다. 그 소리를 따라 동료를 영역으로 돌아오게끔 하기 위해서인데, 개의 경우에는 반려인을 부르기 위해 하는 신호일 수도 있습니다. 

 

 

3) 영역을 지키는 방식

야생에서 지내는 개나 늑대는 낯선 존재들이 영역에 들어섰을 때 하울링을 합니다. 위협적인 순간에 상대에게 경고를 보내는 것이기도 하며 동시에 무리의 동료들에게 상황의 급박함을 알리기 위함이기도 합니다. 야생에서 지내지 않는 반려견들도 비슷한 이유로 하울링을 하는데, 어떤 개들은 낯선 이가 나타났을 때 짖으면서 신호를 보내기도 하지만, 또 다른 개들은 하울링으로 낯선 이의 존재를 알리기도 합니다. 

 

 

4) 분리 불안 

야생에서 늑대들이 동료를 찾는 방식이 하울링인데, 이와 같이 개도 비슷합니다. 개들은 자신과 함께 지내는 반려인이 집을 오랜 시간 비우게 된다면 불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때 반려견은 하울링을 하게 되는데, 바로 오랜 시간 자리를 비운 반려인을 찾는 목소리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5) 고통

다치거나 아플 때 사람들은 보통 눈물을 흘리거나 울기도 합니다. 개가 하울링을 하는 경우 역시 비슷합니다. 통증을 소리로 표현해 냈을 때의 경우입니다. 

 

 

 

강아지 하울링 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강아지 사회화 훈련시키기

강아지 사회화의 중요성 강아지도 사람과 같이 주의의 사람, 다른 강아지들, 그리고 외부에서 들리는 소리 등의 자극을 받아들이고 자신의 영역을 넓혀가는 사회적 동물입니다. 단, 사람의 개인

bokdoldini.hershedin.com

 

 

강아지 응급상황 대처방법

갑자기 반려견이 이상 신호를 보낸다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예상치 못한 상황에 당황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 늘 대책을 세워두

bokdoldini.hershedin.com

 

 

강아지 내부 기생충의 종류와 증상

스스로 살지 못하고 다른 생물의 몸에 붙어서 살아가는 "기생충" 현대 사회에서 인간은 예방을 강조하며 기생충을 어느정도 몸에서 몰아내는데 성공하게되었습니다. 하지만 기생충의 존재를 제

bokdoldini.hershedin.com

 

 

강아지 파프리카 먹어도 될까요?

강아지 파프리카 먹어도 될까요? 파프리카는 고추의 한 종류입니다. 하지만 맵지 않고 특별한 독성이 없어서 강아지가 먹어도 되는 채소 종류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강아지 간식이나 화식 등에

bokdoldini.hershedin.com

 

반응형